KOR

PR Center

Press Releases

Marketon News

넥스트유니콘은 수요기업-스타트업 간 니즈(Needs)를 기반으로 매칭하여 참가자 주도형의 협업을 지원하는 2024년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사업 수요기반형 분야(트랙)에 하반기 26개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의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지원사업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등 수요기업과 스타트업 간 상생협력을 위한 개방형 파트너십을 유도하고 협업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문제해결형(Top-Down), 자율제안형(Bottom-Up), 수요기반형(On-Demand)으로 나뉜다. 그중 수요기반형 분야(트랙)는 수요기업-스타트업 간 니즈(Needs)를 기반으로 매칭하여 상시 및 자발적인 협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넥스트유니콘이 주관기관으로서 운영 중이다. 수요기반형 분야(트랙)의 주관기관인 넥스트유니콘은 하반기 과제 선정을 위해 앞서 올해 7월 8일부터 7월 29일까지 수요기업과 스타트업을 모집하였다. 그 결과 42개의 수요기업과 250개의 스타트업이 하반기 모집에 지원하였으며, ‘OI 마켓’을 통해 자발적으로 매칭된 수요기업과 스타트업이 제출한 협업제안서를 평가하여 총 수요기업 26개사와 스타트업 26개사가 최종 선정됐다. 최종 선정된 26개 과제에 대해서는 5개월의 협약 기간 동안 수요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이 진행되며, 성공적으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사업화(PoC) 자금을 지원한다. 수요기업 26개사에는 ▲대교에듀캠프 ▲대웅제약 ▲로타렉스코리아 ▲롯데케미칼 ▲메가존클라우드 ▲아모레퍼시픽 ▲아주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우미건설 ▲인천항만공사 ▲조광페인트 ▲풀무원 푸드머스 ▲한국에자이 ▲한국콜마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홈쇼핑 ▲현우산업 ▲호반건설 ▲CJ ENM ▲CJ대한통운 건설부문 ▲CJ제일제당 ▲HD현대삼호 ▲KT ▲LG디스플레이가 선정됐다. 스타트업 26개사에는 ▲고고에프앤디 ▲뉴로라인즈 ▲딥센트 ▲라라스테이션 ▲런코리안인코리안 ▲마보 ▲마케톤 ▲메이사 ▲바이오엔 ▲보다비 ▲본솔루션 ▲브로즈 ▲블루닷 ▲스마트마인드 ▲씨어스 ▲아라메친환경소재연구소 ▲앙트러리얼리티 ▲에이치오피 ▲에이트스튜디오 ▲엔바이오셀 ▲오믈렛 ▲임팩티브에이아이 ▲파킹아미고 ▲평행공간 ▲포그라운드 ▲픽셀이 선정됐다. 한편, 수요기반형 분야(트랙)는 상, 하반기 모집을 통해 총 46개의 스타트업을...
MARKETON 2025.02.26 Votes 0 Views 128
호버링 홀로그램 기업 마케톤(양창준 대표)은 최근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익산시청, 국내 대형은행, 싱가폴의 금융기관 등과 제품 설치 및 신규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호버링 홀로그램은 매질(媒質)이 없는 공중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공중의 이미지와 터치가 가능하며 맨눈으로 몰입형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는 신개념의 홀로그램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서울경제진흥원(SBA)에서 진행하는 서울 테스트베드 사업에 참여해,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의 교육실에 12인치 25대 설치, 전시장에 24인치 8대를 몰입형 콘텐츠와 함께 올해 9월에 설치를 완료했다. 교육실에는 25명이 동시에 개별적인 홀로그램 제품으로 동물의 해부학 등 자연과학 수업을 할 수 있도록 25대의 홀로그램 장치가 되어 있는 테이블 시스템을 공급해 새로운 과학 학습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했다. 그동안 개구리, 붕어 등 동물 해부학 실험 등을 환경 문제 등으로 실제로 하기가 어려웠지만, 이번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 터치를 통해 개구리의 피부를 벗길 수 있고, 수술칼로 내장을 분해해 장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자연과학의 길을 열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단순히 박물관이나 과학 실험실에서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인체를 홀로그램을 통해서 3D로 학습 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전시장에는 대형 홀로그램 제품인 24인치 홀로그램을 통해 공룡, 에디아카라 식물군, 삼엽충, 식물, 양서파충류, 인류진화, 멸종위기종, 기후변화 등 8대의 제품에 각각 다른 콘텐츠를 구현해, VR안경 없이 공룡, 동물을 좌-우로 돌리고, 확대-축소하면서 다양한 각도에서 상세히 실감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10월...
MARKETON 2025.02.26 Votes 0 Views 130
전자기기를 이용해 무언가를 보려면 모니터 같은 출력장치가 필요하다. 스마트폰도 액정 화면을 통해 무언가를 볼 수 있다. 홀로그램은 화면 대신 허공에 사물을 비춘다. 이런 홀로그램은 주로 마블 ‘아이언맨’ 같은 근미래 기술을 다룬 영화에 자주 나온다. 허공에 손짓을 하면 홀로그램이 이동하고 반응한다. 실제 홀로그램은 빛 반사·굴절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온전히 허공에 구현하긴 어렵다. 마케톤은 밝은 곳에서도 허공에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연구·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별도 디스플레이 장치(HMD)가 필요한 증강현실(AR)·가상현실(VR)과 달리 허공에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모니터 화면을 띄운다. 마케톤은 이를 ‘호버링 홀로그램’이라고 부른다. 스마트폰을 손짓(터치)으로 조작하듯 호버링 홀로그램도 허공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IT조선은 양창준 마케톤 대표를 만나 호버링 홀로그램을 개발하게 된 계기와 비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양창준 대표는 2019년 10월 마케톤을 설립했다. 양 대표는 초기 마케톤의 사업 방향이 지금처럼 호버링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만드는 게 아니었다고 설명한다. 초기 마케톤은 양 대표가 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20년쯤 일한 만큼 관련 서비스나 컨설팅 같은 쪽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마케톤의 사업 방향이 달라진 계기는 2020년 초 시작된 코로나19 대유행이었다. 양창준 대표는 “2020년 초 가산디지털단지 쪽에서 엘리베이터로 인한 코로나19 감염설이 나왔는데 다들 마스크도 쓰니까 엘리베이터에서 접촉하는 버튼이 감염 매개라고 생각해 IT 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래서 공중에 떠있는 가상의 버튼을 누르면 실제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른 것 같은 비접촉 장치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비접촉 엘리베이터 버튼 장치가 현재 마케톤이 개발하는...
MARKETON 2024.10.14 Votes 0 Views 497
월드IT쇼 현장은 부스 규모는 작지만 속은 알찬 유망 창업·중소기업 열기로 가득했다. 단순 기술 전시를 넘어 미래 유니콘으로 성장할 K디지털 혁신의 요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신 디바이스 등장으로 상용화 시점을 성큼 앞당긴 각종 확장현실(XR) 서비스부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디지털 헬스케어, 자율주행, 양자정보통신, 에듀테크 기업에 참관객 발길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생동감 넘치는 가상공간·디지털 휴먼 사람의 움직임을 똑같이 구현해내는 아바타를 만드는 댄스트럭트 부스는 연신 쏟아지는 질문에 응대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댄스트럭트는 고객이 원하는 움직임을 제작, 판매하는 '3D 안무 데이터 유통 서비스' 기업이다. 다양한 음악에 맞춰 최신 춤을 출 수 있다. 버츄얼 인플루언서나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등 가상공간을 기반으로 한 사업자를 타깃으로 한 서비스다. 실감 콘텐츠를 개발하는 스마트큐브 부스는 산업단지 종사자로 붐볐다. 스마트큐브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산업현장이나 예술품 전시관 등 특정 공간을 온라인으로 똑같이 구현해주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주요 설비와 환경을 3D로 구현, 산업현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어디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버넥트 역시 XR 기술을 접목해 일선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전시했다. 버넥트 솔루션이 탑재된 태블릿을 활용하면 현장 경험이 다소 부족한 작업자도 효과적으로 업무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버넥트 관계자는 “원격으로도 현장 상황을 빠르게 알고 대응할 수 있다”며 “XR 가이드로 정확한 업무지시와 이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인공지능·ICT로 물만난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고도화된 AI 기술을...
MARKETON 2024.09.12 Votes 0 Views 449
새로운 홀로그램 기술을 통해 ‘무(無)안경 실감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마케톤㈜은 지난 6월 13일(목)~14일(금) 이틀간에 걸쳐 개최된 ‘NextRise 2024, Seoul(넥스트라이즈 2024, 서울)’ 행사에서 ‘넥스트 혁신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넥스트라이즈는 무역협회, 산업은행,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등이 주관하는 아시아 최대 스타트업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본 행사에 참여하는 600여 기업 중에 가장 혁신적인 기업 24개를 선발, 수상했고, 마케톤은 이 중 ‘Next Innovator’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마케톤은 지난 4월 World IT Show 2024에서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ICT 혁신상’을 받아, 호버링 홀로그램 기술이 명실공히 혁신기술임을 인정 받았다. ICT시장에서 디스플레이 시장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초실감 영상인 VR·AR·MR, 메타버스 시대까지 진입했다. 하지만, 실감콘텐츠와 솔루션들은 수요자들의 기대만큼 충족을 못 시켜주면서 AR·VR, 메타버스와 같은 몰입형 콘텐츠 시장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몰입형 콘텐츠를 구현한 디바이스가 부재한 가운데 글로벌 테크기업들은 앞다투어 혁신적인 디바이스를 개발하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홀로그램 기술은 안경이나 고글이 필요없는 몰입형 디스플레이이지만, 기존 홀로그램 기술은 사용하는 환경과 UI/UX 관점에서 여러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시장에서 저평가받아 왔다. 호버링 홀로그램(hovering hologram)은 VR안경이나 고글이 필요없이 밝은 환경에서 선명하고, 매질(媒質)이 없는 공중에 디스플레이가 생성되며, 공중의 디스플레이와 터치와 드래그가 가능한 혁신적인 기술로 알려져 있다. 콘텐츠-플랫폼-디바이스-네트워크는 전통적인 ICT 생태계 구조인데, 실감콘텐츠 시장에서 가장 미흡한 부분이 바로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몰입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호버링 홀로그램 기술을 구현한 기업이 마케톤㈜이며, 이는 AR·VR, 메타버스 시장을 견인할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MARKETON 2024.09.12 Votes 0 Views 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