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 Center

Press Releases

Marketon News

- 독일 박물관 디지털 전환, 마케톤 홀로그램이 답이었다. - SPK·프라운호퍼도 놀란 K-테크, 베를린에서 통했다. - K-홀로그램이 유럽 문화유산 체험 방식을 바꿔나갈 것.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전문기업 마케톤㈜(대표 양창준)은 지난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25에 참가해 독일을 비롯한 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마케톤은 박물관의 디지털화와 3D화를 핵심 전략으로 삼아, 독일의 주요 기관 및 연구소와 실질적인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 '독일, 박물관의 도시로 홀로그램 수요 최적지… SPK 실무 총괄과의 만남도" 독일은 유럽의 중심국가이자 역사와 문화를 보존·전시하는 박물관의 도시다. 베를린을 비롯해 프랑크푸르트, 마인츠 등 주요 도시에는 대형 박물관과 기록 보관소가 밀집해 있으며, 최근 몇 년간 “디지털 전환”이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마케톤은 한국에서 이미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새만금 메타버스체험관, 국립청소년바이오생명센터 등에서 호버링 홀로그램 기술을 적용한 사례를 기반으로, 독일 시장이 가장 적합한 해외 진출 무대라는 판단을 내렸다. 특히 독일 박물관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3D 콘텐츠화’와 ‘몰입형 전시 체험’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으로 주목받았다.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큰 성과는 SPK(Stiftung Preußischer Kulturbesitz, 프로이센 문화재단) 실무 총괄과의 비즈니스 미팅이었다. SPK는 독일 연방정부와 연방주의 공동 지원을 받는 공익재단으로, 1957년 설립 이후 베를린을 중심으로 25개 기관(박물관, 도서관, 기록보관소, 연구소)을 관리·운영하고 있다. 특히 페르가몬 박물관(Pergamon Museum)을 포함해 세계적 문화유산을 보존·전시하는 기관들을 총괄한다. SPK 관계자는 전시 현장에서 마케톤의 홀로그램 디바이스에 탑재된 3D 콘텐츠를 직접 체험한 뒤, “관람객에게 더 높은 몰입감을...
MARKETON 2025.10.28 Votes 0 Views 10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기능을 제어하고, 화면 없이도 정보를 시각화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기술의 진화는 단순한 디스플레이를 넘어, 사용자의 시선과 손짓에 반응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요구하고 있다. 마케톤 양창준 대표는 이를 ‘홀로그램’이라는 개념으로 풀어냈다. “디스플레이는 더 이상 유리나 프레임 안에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허공에 뜬 정보와 손끝의 바람만으로도 충분하죠.” 마케톤 양창준 대표는 국내 홀로그램 산업의 돌파구로 ‘자동차’를 가장 먼저 꼽았다. 그는 2023년부터 2024년까지 현대자동차와 함께 실증사업을 수행한 경험을 소개하며, “기어 노브와 버튼을 모두 없애고, 공중에 뜬 홀로그램과 초음파 햅틱으로만 차량을 조작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운전자는 손끝으로 바람처럼 피드백을 느끼며 변속, 공조, 내비게이션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시선은 도로 전방에 고정된 채 기능 조작이 가능하다. 양 대표는 “이 방식이야말로 진짜 미래차 인터페이스”라고 강조했다. 기존 자동차 내부 디스플레이는 대부분 물리적인 버튼이나 평면 모니터 터치에 의존하고 있다. 양 대표는 “콘텐츠는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고 있는데 디스플레이는 여전히 2D에 갇혀 있다”며 “VR이나 AR도 헤드셋이나 고글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만난 글로벌 자동차 디스플레이 개발 담당자가 “차량 가격은 억대를 넘어서지만, 디스플레이는 여전히 고전적이라 고민이 크다”고 토로한 사례를 들며, “차량 내부가 고도화될수록 시선과 인터페이스에 대한 혁신 수요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마케톤은 지난 2년 간, 국내 대표 자동차 업체와 실증사업을 통해 기어박스 구역에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고, 중앙 모니터와 연동된 3D 홀로그램 UI를 구현했다. 사용자가 손을...
MARKETON 2025.10.28 Votes 0 Views 9
MARKETON 2025.10.13 Votes 0 Views 57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국가 전략 주간 AI 위크 대표 행사인 AI 페스타 2025 현장에서 진행된 제9회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상에서 마케톤(MAKETON)이 창업진흥원장상을 수상했다. 마케톤은 공중에 떠 있는 영상을 손끝으로 조작할 수 있는 호버링 홀로그램 기술 기반 차세대 XR 기기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당 제품은 이용자가 VR 기기 없이도 눈앞에 펼쳐진 홀로그램을 손으로 만지고 회전, 확대시키킬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현실과 가상이 겹쳐지는 새로운 몰입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양창준 마케톤 대표는 "VR 안경을 끼지 않고 몰입형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기존의 AR/VR과 같은 몰입형 디스플레이보다 훨씬 실용적이며 사용하기 편리한 첨단 기술이다"라고 수상작을 소개했다. 이어서 "박물관, 스마트 스쿨 등 교육시장, 비접촉 관광안내 사인보드, 미래형 자동차, 랜드마크 빌딩의 무인안내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첨단 기술이라 자부한다"라고 말했다.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AI 페스타 2025 현장에는 마케톤의 기술을 실제로 만나볼 수 있는 부스가 마련됐다. 부스에서는 ▲홀로 뮤지엄 ▲홀로 키오스크 ▲모바일 홀로그램 등 마케톤의 주요 제품이 소개된다. 홀로 뮤지엄(Holo-Museum)은 전시물을 단순히 보는 데 그치지 않고 공중에서 직접 만지고 움직이는 상호작용형 콘텐츠로 재해석해 눈길을 끌었다. 홀로 키오스크(Holo-KIOSK)는 이러한 체험 기술을 관광 안내와 스마트 정보 서비스로 확장해, 관람객이 손끝으로 지도를 조작하거나 랜드마크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https://zdnet.co.kr/view/?no=20250927211210
MARKETON 2025.10.13 Votes 0 Views 53
2025년 6월 11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 최대 테크 박람회 ‘비바테크놀로지(VivaTech) 2025’ 현장.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공동관 내 부스에 자리 잡은 국내 홀로그램 스타트업 마케톤(Marketon)은 단숨에 유럽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공중에 떠 있는 콘텐츠를 손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는 ‘Hovering Hologram’을 앞세운 마케톤은 디지털 콘텐츠 수요가 높은 프랑스 박물관·교육 시장을 타깃으로 유럽 진출의 포문을 열었다. “콘텐츠는 날아가는데, 디스플레이는 왜 평면에 갇혀 있을까?” AI·메타버스·3D 데이터는 나날이 진화하고 있지만, 이를 담아내는 디스플레이는 여전히 2D 유리 너머에 머물러 있다. 마케톤은 이 기술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안경 없이, 고글 없이’ 허공 속 실사급 콘텐츠를 구현하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을 제시했다. 비바테크 현장에서 선보인 마케톤의 대표 기술 ‘Hovering Hologram – Beyond XR’은 물리적 화면이 없는 상태에서도 공중에 선명한 입체 콘텐츠를 띄우고, 손동작만으로 콘텐츠를 회전·확대·축소할 수 있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특히 고글이나 반사판 없이도 밝은 조명 아래에서 선명한 시인성을 유지하며, 설치 공간도 최소화해 실용성과 몰입도를 동시에 충족한다. 박물관부터 교실까지… 프랑스 시장에 최적화된 ‘무경계 디스플레이’ 마케톤은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 박물관과 교육 시장을 차세대 주력 시장으로 점찍고 있다. 유럽은 체험형 전시문화와 디지털 교육 콘텐츠 수요가 높아, 마케톤이 가진 기술적 차별성이 뚜렷하게 드러날 수 있는 무대다. 실제 마케톤의 기술은 이미 한국 내 박물관과 학교에서 검증을 마쳤다.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는 24인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25대가 설치돼, 초등학생들이 개구리 해부부터 공룡 관찰까지 공중에서 직접 조작하며...
MARKETON 2025.06.20 Votes 0 Views 305